금융 상품을 선택할 때 금리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금리 비교 사이트를 활용하면 다양한 금융 상품을 비교하고 더 나은 금융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예금과 적금 금리를 따져야 하는 이유는 금리가 자금의 증식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금리에서 0.01% 차이가 예금, 적금의 이자에서 많은 차이를 가져옵니다. 또한 금리를 고려하여 예금 및 적금 계획을 세우면 가정의 금융 상황을 더 잘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금리를 고려하지 않고 계획을 세우면 예상치 못한 금전적 어려움이 생기기도 합니다. 금리를 따져봄으로써 다양한 금융 상품 간에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의 금리를 비교해서 가장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한번 알아두면 두고두고 써먹을 수 있는 예금과 적금의 금리 비교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리 비교 사이트들에 대해 소개하고, 각 사이트의 활용 방법에 대해 직접 화면을 보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금융감독원 - 금융상품 한눈에 사이트
'금융상품 한눈에' 사이트는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금융상품 통합 비교 사이트입니다. 정기 예금, 적금, 펀드, 절세금융상품뿐만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개인신용대출 등의 대출상품과 연금, 보험 상품들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저축금액은 최대 10억 원까지 넣고 비교할 수 있고 은행의 예금, 적금 상품의 기간인 6개월, 12개월, 24개월, 36개월의 기간을 선택하여 비교도 가능합니다. 이 사이트의 장점은 은행뿐만 아니라 저축은행까지 비교가 된다는 점입니다. 단점으로는 신협이나 새마을금고 등의 2 금융권은 비교되지 않기 때문에 은행이나 저축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를 비교하거나 대출상품이나 연금, 보험상품들을 비교할 때 방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은행연합회 - 소비자포털 사이트
'은행연합회의 소비자포털' 사이트의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탭에 들어가면 예금 금리, 적금 금리 비교는 물론 대출 금리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것은 은행수수료의 예금수수료나 대출수수료, 외환/수출입 수수료와 환전 수수료 등을 비교해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ISA 계좌 전용 예금 금리를 비교한다던지, 예대금리차를 비교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은행에서 다루는 여러 가지 상품들을 비교 공시하고 있으므로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단점이라면 은행연합회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다 보니 은행끼리의 비교는 되지만 저축은행의 자료는 없습니다. 그리고 역시 신협이나 새마을금고 등의 2 금융권의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 좀 아쉽습니다.
3. 마이뱅크
마이뱅크 사이트는 여행자보험 비교사이트로도 유명하지만, 환전서비스나 환율을 비교하고 예금 적금의 금리를 비교하는 데도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가장 큰 장점으로는 금융상품한눈에,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지 않던 신협이나 새마을금고, 지역 농,축협의 금리도 비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은행과 저축은행의 자료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조작이 간편하고 보기 편하게 되어있어 좋은 사이트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편해서 예금이나 적금이 만료될 때마다 이용하는 사이트이기도 합니다.
4. 마치며
주의사항이 있다면 금리 비교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실제 금융 기관의 조건과 일치해야 합니다만,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1차적으로 금리 비교 사이트를 이용하시고 2차적으로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금리 비교 사이트를 활용하여 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교해 보는 것도 좋지만 해당 금융기관의 사이트가 가장 정확합니다. 말씀드린 금리 비교 사이트들은 금융 상품을 선택할 때 중요한 정보를 손쉽게 비교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양한 금리 비교 사이트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믿을만하고, 쓰기 편리한 사이트 3가지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이 글을 참고하셔서 예금, 적금 금리를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면계좌통합조회 방법, 금융결제원 계좌통합관리서비스, 전국은행연합회 휴면계좌 통합조회시스템 (0) | 2023.10.25 |
---|---|
금리인하요구권 개념, 대상, 신청 방법, 필요 서류 (0) | 2023.10.17 |
ISA계좌(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개념, 종류, 한도, 혜택, 단점 (0) | 2023.10.07 |
비과세종합저축 뜻, 장점, 대상, 한도, 가입방법 (0) | 2023.10.04 |
실비보험(실손보험) 합리적으로 가입하는 법(보장범위, 비교하는 법) (0) | 2023.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