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투자란,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국채는 미국 정부가 국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사용하며, 이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국채 투자의 중요성과 종류, 그리고 미국 국채 사는 법과 미국 국채 ETF에 대해서 다루고 마지막으로 미국 국채 투자의 주의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 국채 투자의 중요성
미국 국채는 미국 정부가 보증하고 발행하는 채권으로, 원금 보장이 되며 이자도 지급되기 때문에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평가됩니다. 미국 국채는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금리 인상이나 인하로 인한 변동성이 낮습니다. 이로 인해 수익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특히 자금을 보존하려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미국 국채는 개인 투자자부터 기관 투자자까지 다양한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투자금액과 목표에 따라 여러 종류의 미국 국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국채 투자가 전반적으로 안정지향적인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투자수단이기는 하지만, 특히 세계 경제 대국인 미국 국채는 다른 나라들의 국채에 비해서 더 안정적이라고 평가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미국 국채의 종류
미국 국채의 종류는 투자자의 목표와 투자 기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장기 안정성을 원한다면 장기 국채를, 단기 투자를 원한다면 단기 국채나 저변증권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이자율, 만기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한 국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국채의 첫 번째는 U.S. Treasury Bond(T-Bond)이며,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중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발행되는 채권입니다. 주로 10년 또는 30년의 장기 만기를 가지며, 이 기간 동안 고정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 채권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투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는 U.S. Treasury Notes(T-note) 역시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로, 주로 2년, 3년, 5년, 7년 등의 중기 만기를 가집니다. 이 노트는 장기 국채보다 더 짧은 만기를 가지며, 그에 따라 이자율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세 번째인 U.S. Treasury Bills(T-bill)은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중에서 가장 짧은 만기를 가지며, 주로 4주, 13주, 26주로 발행됩니다. 이 채권은 할인채로 발행되며 만기 시에 원금을 반환합니다. 이자는 만기 시에 차이로 지급됩니다. 그 외에도 미국 저변증권이 있습니다. 저변증권 역시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의 한 종류입니다. 그중 하나로 TIPS(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가 있는데 이것은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인플레이션 보호 국채로, 주로 5년, 10년, 30년의 장기 만기를 가집니다. 이 채권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며, 원금과 이자가 인플레이션에 따라 조정됩니다. 다른 미국 저변증권으로는 Series EE Bonds가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를 위한 저변증권으로, 비교적 짧은 만기를 가집니다. 이 채권은 주로 교육비 지불 및 장기 저축 목적으로 사용됩니다.Series I Bonds라는 저변증권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저변증권으로,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됩니다. 이 채권은 인플레이션율에 따라 이자가 조정되며, 장기 목표 저축에 적합합니다.
3. 미국 국채 사는법- 직접 투자와 ETF 투자방법 비교
미국 국채 직접 투자와 미국 국채 ETF 투자 방법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투자자의 목표, 투자 방식, 리스크 허용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이 두 가지 투자 방법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미국 국채 직접 투자
미국 국채 직접 투자는 투자자가 개별 미국 국채 채권을 직접 보유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은 특정 만기와 이자율을 가진 미국 국채를 선택하여 보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국채는 원금을 안전하게 보존하면서 고정수익을 제공하는 투자 도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미국 국채 포트폴리오를 직접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만기 선택, 다양한 미국 국채 보유, 재투자 및 리베럴스 채권 선택을 포함합니다. 단, 개별 미국 국채 채권을 구매할 때 수수료 및 명목적인 높은 금액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미국 국채 ETF 투자
미국 국채 ETF는 다양한 미국 국채 채권을 포트폴리오로 보유하며, 투자자에게 포트폴리오 다양화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유동성은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미국 국채 ETF는 주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래되며, 유동성이 높습니다. 투자자는 거래소에서 쉽게 사고팔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ETF는 여러 가지 만기와 이자율을 가진 다양한 미국 국채를 포함하고 있어 투자 다양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미국 국채 ETF는 일반적으로 개별 미국 국채를 직접 보유하는 것보다 수수료가 낮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 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미국 국채 직접 투자는 개별 미국 국채를 보유하며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반면 미국 국채 ETF는 포트폴리오 다양화, 유동성, 투자 다양성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더 편리한 옵션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미국 국채 ETF가 더 거래가 간편하고 유동성이 높아 초보자에게 추천합니다.
4. 미국 국채 ETF 종류
미국 국채 ETF는 거래량과 유동성 측면에서 유리한 투자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ETF별로 투자기간이 다르고 구성이 다르니 원하는 ETF를 충분히 탐색하시기 바랍니다. 거래량이 많은 미국 국채 ETF를 몇 가지 예시로 들어 보여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입니다. TLT는 20년 이상의 미국 국채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데 관심이 있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두 번째는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IEF)입니다. IEF는 7년에서 10년 만기의 미국 국채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거래량이 가장 많은 미국 국채 ETF 중 하나입니다. 이 ETF는 중장기 국채에 투자하는데 관심이 있는 투자자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세 번째는 iShares U.S. Treasury Bond ETF (GOVT)로, 다양한 만기의 미국 국채를 포함한 미국 국채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다양한 국채에 분산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이 ETF도 미국 국채 시장에서 거래량이 높은 ETF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도 iShares 3-7 Year Treasury Bond ETF (IEI)가 있습니다. 이 ETF는 3년에서 7년 만기의 미국 국채 지수를 추종하며, 중기 국채에 투자하는 데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리는 Schwab U.S. TIPS ETF (SCHP)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대신 TIPS(물가상승 조정 특별채)에 투자합니다. TIPS는 물가 상승을 반영한 국채로, 투자자의 자산을 물가 상승에 대한 보호로 사용됩니다.
5. 마치며
미국 국채의 가격은 시장 금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만약 금리가 상승하면 현재 보유 중인 미국 국채의 시장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변동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특히 금리의 변동에 따라 채권 가격이 변동되니, 채권과 금리, 채권금리 간의 상관관계를 미리 공부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미국 국채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거래 상품 중 하나이며, 역시 시장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시장 가격의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시장 조건을 주시하고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또한 고려할 사항으로는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있습니다. 미국 국채의 이자율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받습니다. 미국 국채 투자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일 수 있으나, 투자 전 미국 채권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며, 주의사항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 목표와 리스크 허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미국 국채 투자 전략을 수립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ETF 투자의 장점과 종목, 투자방법(feat. 미국 주가지수) (2) | 2023.10.02 |
---|---|
ETF 투자 팁, 투자 종류, 투자방법 (0) | 2023.10.01 |
ETF(상장지수펀드) 뜻, 장점, 거래비용(수수료, 세금), ETN 비교 (0) | 2023.09.30 |
미국 주식 ETF, 섹터별 비교 (0) | 2023.09.26 |
주식 섹터의 종류, 글로벌산업분류체계(GICS)와 WICS (1)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