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와 신용등급은 신용카드 발급, 금융 거래와 대출 심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표입니다. 그러나 신용점수와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좋은지, 낮을수록 좋은지 헷갈리기도 하고, 그 의미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용점수와 신용등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내 신용점수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신용점수와 신용등급은 무엇인가요?
신용점수는 개인 또는 기업의 금융 거래와 신용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입니다. 대출 심사, 신용카드 발급, 금융 거래 등에서 신용 평가 기관이 사용합니다. 신용점수는 0점에서 1000점으로 표기되며 신용점수에 따라 1등급부터 10등급까지 나눈 것이 신용등급입니다. 신용점수는 1000점에 가깝게 높을수록, 그리고 신용등급은 1등급과 가깝게 낮을수록 좋습니다.
2. 신용점수와 신용등급의 관계
21년 1월부터 대한민국에서는 신용등급제가 폐지되었으나, 글로벌 신용평가회사에서는 등급제를 시행중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용평가회사인 NICE(마이크레딧)와 KCB(올크레딧) 신용점수에 따라 등급을 매겨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NICE는 NICE 평가정보에서 제공하는 점수이며, KCB는 신용평가사인 코리아크레딧뷰가 제공하는 점수를 말합니다. 보통 금융기관에서는 NICE와 KCB 점수로 매긴 등급 중 낮은 등급을 기준으로 취급합니다.
신용등급 | NICE(마이크레딧) | KCB(올크레딧) |
1등급 | 900~1000 | 942~1000 |
2등급 | 870~899 | 891~941 |
3등급 | 840~869 | 832~890 |
4등급 | 805~839 | 768~831 |
5등급 | 705~804 | 698~767 |
6등급 | 665~749 | 620~697 |
7등급 | 600~664 | 530~629 |
8등급 | 515~599 | 454~529 |
9등급 | 445~514 | 335~453 |
10등급 | 0~444 | 0~334 |
3. 신용점수를 결정하는 요소
1) 신용거래 내역: 이전 대출, 신용카드 사용, 대출 상환 기록 등과 관련된 정보 포함
2) 신용 카드 사용률: 사용 가능한 신용 한도 대비 카드 사용액 비율
3) 신용 기간: 신용 거래 기간이 얼마나 길었는지
4) 신용 종류: 신용카드, 대출, 할부거래와 같은 다양한 신용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
5) 신규 신용 정보: 최근 대출 신청 및 신용 조회 횟수
4. 내 신용점수 조회하기
1) 모바일- NICE와 KCB 점수 동시에 확인 가능
카카오페이와 토스 앱에 접속한 다음 메뉴에 보면 내 신용정보, 신용정보 조회 등의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NICE와 KCB 동시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2) PC- NICE 점수 확인
NICE 지킴이 신용점수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워주는 신용생활 탭에서 [신용점수 확인하기]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회원가입이 필요하지만 SNS 간편 로그인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앱에서 신용점수 올리기 메뉴가 있으니 이를 활용해서 올리실 수도 있습니다.
3) PC- KCB 점수 확인
올크레딧 공식 홈페이지에서 유료, 또는 무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에 [내 신용점수]를 클릭 후 안심로그인을 통해 신용점수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 서비스는 유료입니다. 무료로 보고 싶으시면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좌측 신용관리 탭에서 [신용위험도 무료진단]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5. 신용점수 확인의 중요성
신용점수 확인은 금융 거래와 금융 건전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 중요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신용점수가 대출, 신용카드, 모기지, 자동차 대출 등의 금융 거래를 승인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높은 신용점수를 가진 개인은 더 우량한 금융 거래 조건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더 낮은 금리와 더 많은 대출 금액을 얻을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금융 기관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높은 신용점수를 가진 개인은 더 낮은 금리와 더 좋은 대출 조건을 협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융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로 신용점수 확인은 개인 또는 가정의 금융 건전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높은 신용점수는 금융 거래의 책임감 있는 관리와 신용력의 향상을 나타내며, 금융 건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네번째로 신용점수 확인은 금융 상황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개인은 신용점수를 모니터링하여 금융 거래의 품질을 확인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섯번째로 신용점수 확인은 개인이 금융 계획을 수립하고 금융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입니다. 신용점수를 기반으로 개인은 금융 거래를 최적화하고 미래의 금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여섯번째로 신용점수 확인은 신용 불량 행위나 사기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금융 기관은 신용점수를 통해 신청자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부정행위를 감지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요약하면, 신용점수 확인은 금융 거래의 승인, 금리 및 조건 협상, 금융 건전성 확인, 금융 상황 예측, 금융 계획 및 목표 설정, 그리고 사기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용점수를 유지하고 관리함으로써 금융 거래와 금융 건전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6. 마치며
신용점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올릴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를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사용을 신중하게 하고, 대출 상환을 정확히 이행하며, 미사용 신용카드를 폐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와 신용등급은 대한민국의 금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인과 기업은 신용 점수와 등급을 관리하여 금융 거래 조건을 최적화하고 금융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 급하게 점수를 올리려면 힘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을 통해 사전에 신용점수에 대해 이해하시고 평소에 신용점수를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전망 보고서 보는법, 세계경제전망, 국내경제전망(feat. 2023. 8월 보고서) (0) | 2023.10.10 |
---|---|
금 투자(KRX 금거래소), 금 투자방법 비교하기 (0) | 2023.10.09 |
부담부증여 의미, 이유, 주의점 (0) | 2023.10.08 |
경제 사이클을 이해하고 투자 전략 세우기 (0) | 2023.09.24 |
증여세와 상속세 차이, 용어, 세율과 계산, 신고기한, 신고방법 (0) | 2023.09.21 |